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한의약박물관까지 만날 수 있는 국내 제2의 한약 시장인 제기동역 경동 약령시장

 



지하철 1호선을 타고 찾아가는 제기동역의 경동 약령시장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약령중앙로 8길 10에 자리하고 있는 우리나라 제2의 한약 시장으로 우리나라에서 거래되는 70%의 한약재를 유통하는 약재 전문 시장이다. 한의약박물관이 있어 한방에 대한 상식과 체험을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한방차도 즐길 수 있다. 조선시대 동대문 바깥에 있던 보제원은 관리나 여행자들의 숙소로 활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난한 사람들을 치료하고 약을 나눠주는 구휼 기관이었다. 서울약령시가 자리한다.


서울약령시는 경동시장을 배경으로 성장하였다. 해방 이후 당시 경춘선의 시발역이었던 성동역 주변에 경기도와 강원도등에서 산나물과 마늘, 고추 등의 농산물을 판매하는 노점들이 형성되었다가 1960년에 경동시장이 개설되었다. 종로에서 한약재를 판매하던 사람들과 한의사들이 종로의 땅값 상승과 교통의 혼잡 등의 이유로 경동시장으로 이전해 오면서 한약재와 한의원이 증가했다. 경기도와 강원도에서 생산된 약재가 경동시장으로 유입된 것도 중요한 이유였다.

 

1970년대 이후 호황을 누리며 급성장한 서울약령시는 1995년에 정식으로 시장 허가를 받았다. 이를 계기로 그때부터 한방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오늘날 전국에서 거래되는 한약재의 70% 정도가 서울약령시를 중시믕로 유통되고 있다. 서울약령시는 2013년에 문화관광형 시장을 선정되었다. 약령이라는 말은 조선시대 효종 연간부터 개설되어 정기적으로 약재를 사고팔던 시장을 가리키는 말이다. 약령시는 한약재를 판매하는 시장을 의미한다. 서울약령시는 서울에 위치한 약령시이다.



종로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던 한약재를 파는 점포와 상가들이 경동시장 주변으로 모여들어 특화되어 형성된 시장이 바로 서울약령시였다. 서울약령시의 기원은 조선시대의 보제원으로 서울 사대문 바같에 위치해 관리들과 여행자들의 숙소였으며 사대원 중 하나였다. 사대원은 서대문 바깥의 홍제원, 남대문 바깥의 이태원, 광희문 바깥의 전관원, 동대문 바깥의 보제원을 말한다. 보제원은 성종 때까지 한의원과 의사 등을 배치해 가난한 사람을 진료하고 약을 나누어주기도 했다. 

 

경동시장 내에 인삼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상가가 들어오면서 인삼의 집산지로 부상했고 자연스럽게 한약제를 도산매하는 시장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경동시장은 시간이 흐르면서 한약재시장으로 특화되었다. 서울시가 1995년 전통 한약 시장 지역으로 지정한 뒤에는 경동시장은 약령시로 변화했다. 경동시장이 약령시로 변화하자 주변에 동의보감타워, 한솔동의보감타워 ,블로장생타워, 삼환동의보감타워, 한방천하 등 한방타운을 형성했다. 

병의 진료가 상당 부분 병원을 통해 이루어지면서 젊은 고객층의 유입이 크게 줄어들었으나 현대에 들어 예방 의학이 발달하면서 한약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형성되고 있다는 점이 새로운 발견이다. 서울약령시는 2013년 문화관광형 시장 육성 사업에 선정되면서 이러한 인식 변화를 위한 모색을 도모하고 있다. 기원전 시대부터 시작된 한방치료는 천연물질을 활용하여 사람의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여러가지 천연자원을 조합하여 다양한 질병에 대응한다.



<여행지 개요>

여행지명 : 경동 약령시장
장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약령중앙로 8길 10



"어떠한 지원도 받지 않았으며 여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비즈니스 문의는 받지 않습니다"
"내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더 자세한 내용은 주최측 및 언론기사 등을 확인하세요"
"공감과 댓글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