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창덕궁은 자연 지형에 맞게 배치되어 자연과 조화를 이룬 궁궐이다.



 

창덕궁은 1405년에 지어진 조선시대의 궁궐로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하고 있다. 창덕궁은 자연 지형에 맞게 배치되어 자연과 조화를 이룬 궁궐로 유명한 궁궐이다. 건축과 조경이 잘 조화된 종합 환경디자인 사례이면서 동시에 한국적인 공간 분위기를 읽게 하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건축사에 있어 조선 시대 궁궐의 한 전형을 보여 주벼 후원의 조경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왕실 정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창덕궁의 가장 큰 특징은 자연을 이용한 공간 배치이다. 창덕궁은 궁궐을 구성하는 건물과 정원은 물론이고 작은 돌과 나무 한 그루까지도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북한산과 매봉산으로 이어진 산줄기가 창덕궁과 연결되어 자연 지형의 연장선상에서 지어졌다는 걸 알 수 있다.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에 서면 경복궁이나 창경궁, 경희궁과 달리 정문에서 정전을 볼 수 없다. 건물이 자연 지형과 공간의 크기에 따라 제각기 다른 형태로 저마다의 위치에 세워져 있기 때문이다. 

 

창덕궁의 북쪽에 자리하고 있는 정원인 후원은 선조들이 얼마나 자연을 중시했는지 잘 보여 주는 곳이다. 나지막한 언덕, 계곡과 어우러진 숲과 정원은 자연 그대로를 보는 듯하다. 사람들이 만든 연못과 건물이 있지만 창덕궁 후원의 인공 시설물과 건물들은 전혀 눈에 거슬리지 않는 구조와 위치를 지키고 있다. 자연과 건축의 절묘한 조화를 이루게 하여 모두 자연의 일부처럼 느끼게 한다. 

 

창덕궁은 외전과 내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궁궐에서 왕과 신하들이 공식적인 업무를 처리하던 곳을 외전, 왕과 왕족들이 살았던 개인적인 공간을 내전이라고 한다. 외전은 돈화문에서 시작된다. 돈화문을 지나 돌다리인 금천교를 건너면 진선문이 나오고 인정전의 정문인 인정문이 나타난다. 2층 월대 위에 인정전이 세워져 있으며 창덕궁을 상징하는 건물로 나라의 공식 행사가 열렸던 장소이다. 나랏일을 논의하던 희정당 뒤편에는 외부와 철저하게 단절되었던 대조전이 있다.

 

궁궐 동쪽 끝에는 소박한 건물인 낙선재가 자리하고 있으며 헌종이 후궁을 위하여 마련한 공간이다. 헌종은 낙선재를 지은 뒤 옆에 석복헌과 수강재를 추가로 지었으려 이 세 건물이 있는 곳을 통칭하여 낙선재 일곽이라고 부르고 있다. 왕세자가 머물던 성정각, 역대 와들의 초상화를 모셔 두고 제사를 지내던 선원전, 와의 일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궐내각사에는 왕과 왕족의 으료를 담당했던 약방, 왕의 칙령, 문서, 경서, 사적을 관리했던 옥당, 국립도서관인 규장각이 있다. 

 

조선 시대 정원을 대표하는 부용지의 연못에는 커다란 소나무가 자라고 있는 둥근 섬이 있으며 동양의 음양 사상을 잘 담아 지은 곳이다. 음양 사상에 의하면 우주는 천원지방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네모난 연못은 땅을 의미하고 둥근 섬은 하늘을 뜻한다고 한다. 부용지에는 2개의 기둥이 연못에 들어가 세워진 특이한 모습의 정자, 부용정이 있다. 부용정은 왕과 왕족들이 휴실을 취하거나 독서를 즐기던 장소였다. 주합루의 1층은 규장각, 2층은 우주의 이치가 모인 주합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