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매화 명소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국내 매화 명소로는 축제가 펼쳐지는 곳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곳도 많다. 매화 축제로는 광양 매화축제와 양산 원동 매화축제, 제주 노리매 매화축제 등이 있으며 축제가 펼쳐지지 않아도 매년 많은 사람들이 매화를 보러가는 곳으로 구례 화엄사 홍매화와 아산 현충사 홍매화, 양산 통도사, 인천 매화동산 등이 있다. 국내 매화 명소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자.
1. 광양 매화축제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매화마을 일원에서 매년 3월 초부터 중순까지 열리는 광양 매화축제는 대한민국 봄 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행사로 유명하다. 섬진강변과 청매실농원을 중심으로 약 19만 8천㎡의 매화 군락이 환상적인 장관을 이루며, 해마다 100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찾아온다. 축제에서는 다양한 문화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이 열렸으며, 지역 특산품도 판매된다. 주차는 둔치주차장을 이용하며, 축제 기간 동안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된다.
2. 양산 원동 매화축제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원동마을 일원에서 열리는 원동 매화축제는 낙동강변을 따라 펼쳐진 매화꽃과 함께 원동 토종 매실을 즐길 수 있는 시민 참여 축제다. 매년 3월 중순에 개최되며, 원동 일대의 낙동강변 기찻길을 따라 핀 매화꽃이 장관을 이룬다. 축제 기간에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지역 농산물 직거래 장터가 마련되어 방문객들에게 즐거움을 준다. 주차는 인근 주차장을 이용하며, 축제장 내 셔틀버스도 운행된다.
3. 구례 화엄사 홍매화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에 위치한 화엄사는 수령 370년의 홍매화 '자장매'로 유명하다. 매년 2월 말부터 3월 중순까지 홍매화가 만개하며, 많은 사진작가와 관광객이 찾는 명소다. 화엄사에서는 매화 개화 시기에 맞춰 사진 콘테스트를 진행하며,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선사한다. 주차장은 사찰 인근에 마련되어 있으며, 입장료는 무료다.
4. 아산 현충사 홍매화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현충사길에 위치한 현충사는 고택 앞에 만개한 진분홍의 홍매화로 유명하다. 매년 3월 중순에 만개하며, 봄꽃과 함께 다양한 볼거리가 가득하다. 입장료는 무료이며, 주차 시설도 잘 갖춰져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추천된다.
5. 제주 노리매 매화축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에 위치한 노리매 공원에서는 매년 2월 중순부터 3월 초까지 매화축제가 열린다. 노리매는 순우리말인 '놀이'와 매화의 '매'가 합쳐진 이름으로, 자연 속에서 현대적인 감성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축제 기간에는 수선화, 매화, 목련 등 다양한 꽃과 나무가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다. 특히, 매화가 개화하는 시기에는 곳곳에 조성된 포토존에서 예쁜 사진을 남길 수 있다.
6. 양산 통도사 홍매화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에 위치한 통도사는 국내 3대 사찰 중 하나로, 수백 년을 버틴 홍매화가 핀 모습이 장관을 이룬다. 매년 3월 초에 만개하며, 홍매화는 물론 백매화도 만날 수 있다. 부산 근교 드라이브 코스로도 추천된다. 입장료는 무료이며, 주차 시설도 완비되어 있다.
7. 아산 정매원 매실 농장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안길에 위치한 정매원 매실 농장은 개인이 운영하는 매실 농장으로, 매화 시즌에만 일시적으로 개방된다. 매년 3월 중순에 만개하며, 방문객들은 아름다운 매화꽃을 감상할 수 있다. 주차 시설이 마련되어 있으며, 입장료는 무료다.
8. 인천 매화동산
인천광역시 서구 시천동에 위치한 매화동산은 매화를 테마로 만들어진 정원으로, 40년 이상의 다양한 매화나무를 볼 수 있는 곳이다. 봄이 되면 하얗게 만개한 매화꽃이 장관을 이루며, 도심 속에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장소로 추천된다. 입장료는 무료이며, 주차 시설도 완비되어 있다.
9. 서울 봉은사 홍매화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봉은사는 도심 속 사찰로, 진여문, 보우당 등 사찰 곳곳에서 홍매화를 볼 수 있다. 매년 3월 초부터 중순까지 꽃이 피며, 홍매화와 함께 고즈넉한 사찰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장소다.
"어떠한 지원도 받지 않았으며 여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비즈니스 문의는 받지 않습니다"
"내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더 자세한 내용은 주최측 및 언론기사 등을 확인하세요"
"공감과 댓글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