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남원 백두대간 생태교육장을 찾아 우리민족 고유의 성산인 백두산을 알아보자.

 

 

남원 백두대간 생태교육장은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운봉로 151, 주촌리 594에 자리하고 있다. 2016년 4월 26일에 오픈 및 개장하여 운영중에 있으며 현재 2016년 7월 30일부터 8월 28일까지 세계희귀동물 특별전을 진행하고 있다. 시설에는 백두대간 생태교육장 전시관, 곤충온실, 어린이 놀이시설, 생태문화체험장 1, 생태문화체험장 2, 야외공연장, 잔디광장, 주차장 1, 운동장, 트랙, 주차장 2 등이 있다. 10대강에는 두만, 압록, 청천, 대동, 예성, 임진, 한, 금, 낙동, 섬진 등

 

 

전시시설에는 1층에 5D써클영상관의 노치소년과 범이, 사운드미디어 퍼포머스관의 백두대간 산간마을 이야기, 백두대간 산간문화 이야기, 지리산. 자연의 소리, 늘 푸른 백두대간, 3D 애니메트로닉스관의 지리산에 이르다, 신비의 골짜기, 야생의 땅. 지리산, 신음하는 백두대간, 되돌아 온 야생동물, 1층의 생명의 나무의 생명의 숲에 들다범이, 프롤로그의 아기호랑이 범이를 만나다. 백두대간 역사관의 줄무늬의 비밀, 어드벤처 라이더관의 호랑이 백두대간을 달린다. 백두대간.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체계이며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 설악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반도의 중심산줄기로서 총길이는 약 1,400㎞에 이른다. 지질구조에 기반한 산맥체계와는 달리 지표 분수계를 중심으로 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인간의 생활권 형성에 미친 영향을 고려한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산지인식 체계이다.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청북, 청남, 해서, 임진북예성남, 한북, 한남, 한남금북, 금북, 금남, 금남호남, 호남, 낙동, 낙남 등이 있다.

 

 

대간은 백두산-두류산-금강산-설악산-오대산-태백산-속리산-덕유산-지리산, 1정간은 장백정간으로 원산-서수라곶산, 13정맥은 청북정맥 낭림산-미곶산, 청남정맥 낭림산-광량진, 해서정맥 개연산-장산곶, 임진북예성남정맥 개연산-풍덕차, 한북정맥 분수령-장명산, 한남정맥 칠현산-문수산, 한남금북정맥 속리산-칠현산, 금북정맥 칠현산-안흥진, 금남정맥 마이산-조룡산, 금남호남정맥 장안치-마이산, 호남정맥 마이산-백운산, 낙동정맥 태백산-몰운대, 낙남정맥 지리산-분산 등

 

 

백두대간의 유래는 우리 국토의 등뼈를 이루는 중심 산줄기로서 우리민족 고유의 성산인 백두산의 신성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백두산은 고대단군신화로부터 시작해서 언제나 크고 높으며 성스러운 산으로 여겨졌으며 본격적으로 숭배화한 기록이 고려 태조 왕건의 탄생설화부터이다. 조선 세종 때 두만강, 압록강을 경계로 하는 국경을 확보하였고, 고려 승려 도선의 옥룡기에 우리나라는 백두산에서 일어나 지리산에서 '끝났으며 물의 근원, 나무 줄기의 땅이다라고 표현했다.

 

 

이중환의 1751년의 택리지에는 대간은 끊어지지 않고 옆으로 뻗었으며 남쪽으로 수천 리를 내려가 경상도 태백에 까지 통하여 하나의 맥령을 이루었다고  표현되어 있고, 백두대간과 백두정간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문헌은 이익의 1760년의 성호사설로 백두산을 우리나라의 조종산이며 대간의 시작 산으로 보았다. 여암 신경준의 1770년 산경표는 백두대간에 대해서 용어 뿐만 아니라 백두산에서 지리산에 이르는 산맥연결의 상태, 관계, 순서를 알기쉽도록 일목요연하게 기록

 

 

 

"어떠한 지원도 받지 않았으며 여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내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더 자세한 내용은 주최측 및 언론기사 등을 확인하세요"